[14장]
본장부터는 북이스라엘과 남유다의 역사가 번갈아 기술되고 있습니다. 여로보암은 아들이 병들었을 때 그 원인이 자신의 죄악 때문임을 깨달아야 했습니다. 그러나 끝내 깨닫지도 회개할 줄도 몰랐으며, 결국 여로보암의 가문에 속한 모든 자들이 다 진멸될 것이라는 심판을 선고 받았습니다. 한편, 남유다의 르호보암이 우상 숭배를 자행한 것은 암몬 여인인 어머니 나아마의 영향 때문입니다. 그가 애굽 왕 시삭의 침공을 받은 것은 하나님이 아닌 다른 무엇을 의지하는 자들은 결국 파멸뿐임을 보여줍니다.
[15장]
유다의 2,3대 왕인 아비암과 아사, 이스라엘의 2,3대 왕인 나답과 바아사에 대한 기록입니다. 아사는 남북 왕국의 분열 이후 최초로 종교 개혁을 단행한 왕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그도 바아사와의 전쟁에서는 하나님 대신 아람을 의지하였으며 이 일로 그를 책망한 선지자 하나니를 감옥에 가두는 잘못을 벌하고 말았습니다. 한편, 아사의 통치 기간 중 이스라엘에서는 바아사가 여로보암의 아들 나답에게 반란을 일으켜 왕권을 탈취하는 쿠데타가 일어났습니다. 이는 여로보암의 가문이 진멸되리라는 저주의 성취였습니다.
[16장]
이스라엘의 왕조가 또다시 바뀐 것에 대한 기록입니다. 하나님은 여로보암 왕가를 징벌하기 위해 바아사를 왕으로 세우셨습니다. 그러나 그 역시 여로보암의 죄악을 답습하였으며 선지자 예후의 경고를 듣고도 회개치 않았습니다. 그 결과 엘라, 시므리에 이어 오므리가 권력을 장악함으로 이스라엘의 제3대 왕조인 오므리 왕조가 들어섰습니다. 이로써 이스라엘은 정치적 안정을 되찾았습니다. 그러나 종교적으로는 암흑기를 초래하고 말았습니다. 오므리의 아들 아합이 베니게와 결혼 동맹을 맺고 바알 숭배자인 이세벨과 결혼한 것은 북왕국을 우상 숭배지로 만든 대표적 사례입니다.
'통독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말씀] 열왕기상 20-22장 (0) | 2018.05.31 |
---|---|
[오늘의 말씀] 열왕기상 17-19장 (0) | 2018.05.31 |
[오늘의 말씀] 열왕기상 11-13장 (0) | 2018.05.31 |
[오늘의 말씀] 열왕기상 8-10장 (0) | 2018.05.31 |
[오늘의 말씀] 열왕기상 4-7장 (0) | 2018.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