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말씀] 열왕기하 10-13장 10장 예후는 요람과 이세벨을 죽이는 데서 그치지 않고 아합 왕가의 남은 자손들을 모두 처단하였습니다. 이처럼 아합 왕가가 완전히 진멸당한 것은 예언의 성취이자 하나님의 심판의 철저성을 보여줍니다. 한편, 왕이 된 예후는 지금까지 성행하던 바알 종교를 근절하였습니다. 그러나 벧엘과 단의 금송아지는 파괴하지 않고 그냥 내버려 둠으로써 백성들로 하여금 예루살렘 성전을 찾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따라서 예후의 종교 개혁은 신앙적 동기가 아닌 자신의 권좌를 유지하려는 정치적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11장 유다 왕 아하시야가 예후에게 살해되자 아하시야의 어머니이자 아합의 딸인 아달랴가 왕권을 장악하고 다윗의 후손들을 진멸하려 하였습니다. 이는 그녀가 유다를 자기 마음대로 통치하여 바알 종교를 확산시킬 목적에.. 더보기
[오늘의 말씀] 열왕기하 7-9장 [7장]함락 위기에 놓였던 사마리아 성이 극적으로 구원받은 데에 대한 기록입니다. 하나님이 패역한 이스라엘을 징치하면서도 번번이 구원해 주신 이유는 저들을 회개케 하시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러나 왕의 장관 중 한 사람은 구원의 기쁜 소식을 전하는 엘리사의 말을 믿지 않고 조롱하였습니다. 이는 당시 온 이스라엘 백성의 불신앙을 대변한 것입니다. 한편, 문둥병자들이 목격하였듯이 하나님의 강권적 섭리 덕분에 아람 군이 황급히 퇴각하고 사마리아 성은 실제로 위기에서 벗어났습니다. 그러나 왕의 장관이 죽은 것은 이스라엘이 멸망당할 것이라는 사실에 대한 경고입니다. [8장] 본문의 수넴 여인은 앞서 엘리사를 극진히 공궤하였던 여인입니다. 그녀는 이스라엘에 7년 동안 기근이 임하였을 때 블레셋으로 피신하였다고 고향으로.. 더보기
[오늘의 말씀] 영왕기하 4-6장 [4장] 엘리사가 행한 기름 사건과 수넴 여인의 잉태, 그녀의 아들의 죽음과 소생, 해독 이적 등도 엘리사의 능력이 하나님께 있음을 밝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편, 이 모든 이적은 어려움에 처한 자의 필요를 돌아보고 채워주며 죽은 자에게 새 생명을 부여해 준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런 점에서 엘리사의 사역은 하나님의 저주와 심판을 주로 선고하였던 엘리야의 사역과 대비됩니다. [5장] 엘리사가 아람 왕의 군대 장관인 나아만의 문둥병을 치유해 준 내용입니다. 나아만이 친히 엘리사를 찾아왔으며 그의 푸대접에도 불구하고 신복들의 권고를 받아들여 그의 말대로 순복한 것은 예수님도 칭찬하신 겸손한 행위였습니다. 그 결과 그는 병을 고침 받고 고국으로 돌아갔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택한 백성이라고 자랑하면서도 불순종.. 더보기
[오늘의 말씀] 열왕기하 1-3장 [1장]아합의 사후 아하시야가 즉위했지만 그 역시 바알 숭배에 몰두하였습니다. 그가 병든 것은 하나님의 경고였지만 그는 하나님을 찾는 대신 우상의 도움을 청하였습니다. 이는 아하시아뿐 아니라 당시 이스라엘 백성의 일반적인 신앙 상태였습니다. 이에 하나님은 엘리야를 보내어 징벌을 선포하셨습니다. 그러나 아하시야는 엘리야의 말을 듣고도 회개치 않고 오히려 그를 체포하려 하였습니다. 만일 그가 히스기야와 같이 하나님께 겸손히 순복했다면 치유함을 받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은 그는 결국 죽고 말았습니다. [2장]엘리야가 사역을 끝내고 승천한 것과 엘리사가 그 뒤를 이은 것에 대한 기록입니다. 엘리야는 에녹과 같이(창 5:24) 죽음을 보지 않고 승천한 인물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엘리사에게 영감을 .. 더보기
[오늘의 말씀] 열왕기상 20-22장 [20장]아람 왕 벤하닷이 이스라엘을 두 차례나 침공했으나 아합이 모두 격퇴시킨 것에 대한 기록입니다. 아합이 이처럼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까닭은 하나님의 도우심 덕분이었습니다. 하나님은 그로 하여금 당신의 은혜를 깨닫고 돌이키게 하며 벤하닷의 교만을 징치하려 하셨습니다. 그러나 어리석게도 아합은 하나님이 심판하실 벤하닷을 놓아주고 말았습니다. 이는 자신의 힘으로 승리한 줄 생각한 교만과 벤하닷과 동맹을 맺어 앗수르를 대항하려는 인간적 계락 때문이었습니다. 훗날 그가 아람과의 3차 전쟁에서 죽고 만 것은 교만한 자를 물리치신 하나님의 심판입니다. [21장]이스라엘인들에게 있어 토지는 개인의 소유이기 이전에 하나님의 소유이자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기업이었습니다. 따라서 그 기업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