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말씀] 오바댜 1장, 요나 1-4장 오바댜 1장다른 대부분의 선지서들이 이스라엘의 죄악과 심판을 주 내용으로 하는 데 비해 본서는 에돔에 임할 하나님의 심판을 다루고 있습니다. 에돔은 이스라엘과 친히 관계에 있으면서도 이방 열국과 연합하여 이스라엘을 침략하였습니다. 오바댜는 에돔에게 임할 심판을 통해서 하나님과 그의 택한 족속을 대적하는 세력은 반드시 파멸될 것임을 교훈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에 나타나는 에돔은 단순한 이스라엘의 대적국이 아니라 오늘날 성도를 대적하는 사단의 세력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에돔의 멸망이 이스라엘의 회복과 직결되는 내용에서 확연히 증명 됩니다. 요나 1장 구약에서 하나님의 구원이 이스라엘에게 집중되어있지만 이방 민족이 구원의 반열에서 제외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하나님은 언제나 구원의 문을 열.. 더보기
[오늘의 말씀] 아모스 6-9장 6장 이스라엘 지배층들은 하나님의 축복을 도리어 개인의 향락과 사치로 허비했습니다. 정신적 지표가 되어야 할 사람들이 도리어 사회 전반의 악을 조장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사회 정의에 불타는 아모스가 이들의 비행을 묵과할리 만무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장차 포로가 되어 학대를 면치 못할 것입 니다. 거의 모든 선지자의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아모스는 돌이키기를 한사코 거부하는 자에게 임할 심판을 선포함으로써 자기 설교를 마무리 짓습니다. 7장 본 장 전체는 미래에 달칠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을 환상으로 보여 줍니다. 본 장에서는 황충불, 다림줄 환상을 언급합니다. 이 세 가지 환상은 앗수르의 공격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실제 이스라엘은 앗수르의 3차에 걸친 공격으로 멸망 당하였습니다. 사정이 이런데 도 거짓 선.. 더보기
[오늘의 말씀] 아모스 1-5장 1장 아모스는 북 이스라엘이 최고의 황금기를 구가하던 여로보암 2세 때 활동한 선지자였습니다. 이 때는 물질적인 번성이 극에 달했던 반면에 종교적으로는 암흑기나 다름없었습니다. 본장은 이스라엘에게 임할 하나님의 심판을 간략히 언급한 다음, 열방에 대한 심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을 거역한 자는 누구를 막론하고 심판의 반열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본장에서 언급하는 나라는 선민에 대한 악행과 하나님의 공의를 훼손한 대가로 인해 파멸 당하고 있습니다. 2장 1장에서 시작된 이방 열국에 대한 심판의 연속이 본 장 3절까지 언급됩니다. 이어 남왕국 유다의 죄악이 언급되고, 본격적으로 북이스라엘의 죄악과 이에 대한 형벌이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범죄는 열방과 유다의 죄를 합.. 더보기
[오늘의 말씀] 요엘 1-3장 1장 요엘 선지자는 이스라엘에 임한 메뚜기 재앙과 가뭄을 통해서 이미 임한 여호와의 재앙이 어떠한 것인가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 두 사건은 불순종한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징계의 신호탄이자 종말론적 대 심판의 예표이기도 합니다. 요엘은 그날을 '여호와의 날'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2장 '여호와의 날'에 대한 경고를 메뚜기의 활동과 연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다분히 공격적이고 파괴적인데, 회개하지 않는 자는 이 공격 앞에 무력하게 참패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한편, 여호와의 날은 악인에게는 가혹한 형벌이 주어지나 의인에게는 상급이 주어집니다. 그러므로 그날은 기쁨의 날임과 동시에 애곡의 날이기도 합니다. 28-32절은 성령의 세례를 약속하고 있습니다. 3장 출애굽시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대신해서 .. 더보기
[오늘의 말씀] 호세아 8-14장 8장 하나님은 오래 참으사 죄인의 회복을 기다리십니다. 그러나 하나님께 회개하기를 지속적으로 거부하는 자에게는 심판의 칼을 드십니다. 여기서는 이스라엘에게 임박한 심판이 나팔 소리로 비유되어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당면한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애굽과 앗수르에 조공을 바치며 화친 정책을 추구하였습니다. 이 것은 하나님 대신에 세상을 의지하고자 하는 회색 신앙의 결과였습니다. 9장 지금까지 호세아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부패를 조목조목 지적하였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심판이 필연적임을 강조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그런데 본장에서는 그 심판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즉, 소출 감소, 이방의 포로됨. 후손의 감소 등입니다. 이스라엘의 범죄가 전반적이었듯, 하나님의 심판도 총체적으로 내려 짐을 알 수 있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