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말씀] 에스라 1-5장 1장 바사 왕 고레스가 바벨론을 점령함으로써, 예루살렘 멸망 이래 70년 동안 바벨론에서 포로 생활을 하던 이스라엘 민족에게 새로운 역사의 장이 열렸습니다. 그 이유는 하나님의 강권적인 섭리 덕분에 고레스가 포로민들의 본국 귀환을 허용하는 조서를 내렸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다윗의 혈통을 좇아 이 세상에 그리스도를 보내시려고 하신 하나님의 구속사도 연속 될 수 있었고 또 하나님의 놀라운 섭리도 증명되었습니다. 2장 고레스의 칙령에 따라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1차 포로 귀환자들의 명단입니다. 귀환자들의 수와 혈통, 신분 등이 상세히 나와 있는 이 같은 기록은 포로 귀환이 실제로 일어난 역사적 사건임을 증거해 줍니다. 한편, 이 명단은 느헤미야 7장의 명단과 거의 같습니다. 그러나 귀환민들의 종족과 계보가 중요.. 더보기
[오늘의 말씀] 역대하 33-36장 33장 므낫세는 히스기야의 종교 개혁과 신앙 부흥 운동의 결실을 허물어 버린 장본이었습니다. 그는 백성들을 우상 숭배로 이끄는 데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로 말미암아 하나님은 앗수르 군대를 보내어 그를 사로잡아 가게 하셨습니다. 가증스럽기 짝이 없는 죄악을 범한 므낫세였지만, 환난 가운데서 진심으로 회개하였을 때, 하나님은 그의 기도를 들으사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해주셨습니다. 21절 이하는 아몬이 실정 끝에 피살되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짤막하게 수록하고 있습니다. 34장 요시야 왕은 친히 온 유다와 이스라엘을 순회하며 우상들을 제거하였고, 성전 수리를 명하였습니다. 성전 수리 과정에서 여호와의 율법책이 발견되고, 여선지자 훌다를 통해 그 의미가 해석되었습니다. 이에 요시야는 하나님의 자비를 구하며 .. 더보기
[오늘의 말씀] 역대하 29-32장 29장 히스기야가 성전을 정화시킨 공적에 대한 기록입니다. 그는 즉위하자마자 성전 문들을 수리하였으며, 우상 숭배로 얼룩진 성전 곳곳을 성결케 하는 작업을 전격적으로 단행했습니다. 팔 일 동안 성전을 정화하고 정돈한 후에, 히스기야는 대제사장들을 명하여 온 이스라엘을 위한 속죄제를 드리게 했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번제를 드린 후에 온 백성으로 하여금 번제물을 자발적으로 바치게 했습니다. 한편, 히스기야의 종교개혁은 아하스의 불신앙으로 말미암아 파기된 하나님과의 언약을 갱신시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30장 히스기야의 주도로 말미암아 대대적인 유월절 행사가 거행되었습니다. 이 행사가 각별한 의미를 지녔던 것은, 남북 왕국 분열 이후 북왕국 백성들은 200여년 동안 유월절에 참석치 못하였는데 이때 비로.. 더보기
[오늘의 말씀] 역대하 25-28장 25장 아마샤의 통치 첫 부분은 하나님의 법도를 순종함으로 말미암은 축복과 승리에 관한 묘사입니다. 둘째 부분은 우상 숭배로 말미암은 징벌 곧 패전과 모반 사건에 관한 기록입니다. 아마샤는 다소 시행 착오를 반복하기는 했으나,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함으로써 세일 자손 일만 명을 죽이는 큰 전과를 올렸습니다. 그러나 큰 승리를 거두자 그의 마음은 자만과 교만으로 가득해져서 우상을 섬기는가 하면 이스라엘에 대해 선전 포고를 했습니다. 이렇게 하여 벌어진 남북 왕국간의 전쟁은 유다의 패배로 마감되었고, 훗날 아마샤는 모반자들에 의해 살해되었습니다. 26장 16세 어린 나이에 즉위한 웃시야는 스가랴 선지자의 조언을 받아들여 하나님을 경외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도움으로 블레셋, 아라비아, 마온 등지를 정벌하.. 더보기
[오늘의 말씀] 역대하 21-24장 21장 여호람의 통치는 죄악으로 점철되었습니다. 그는 즉위하자마자 자신의 아우들을 몰살시켰습니다. 절대 권력을 탐하는 정신병적인 야욕이 빚어낸 어처구니 없는 살상극이었습니다. 또한 그는 아합의 딸 아달랴의 의견을 좇아 산당을 세우는 등 우상 숭배를 조직하였습니다. 이때 선지자 엘리야는 여호람의 악정을 책망하며 그가 비참한 죽음을 당할 것이라고 예언하였고, 그 예언은 어김없이 이루어졌습니다. 물론, 여호람 때 에돔이 유다의 수하에서 벗어난 사건이나 블레셋 인들과 아라비아인들이 침입하여 여호아하스 외의 모든 아들들을 살해한 일 등도 여호람의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었습니다. 22장 여호람의 뒤를 이은 아하시야는 외삼촌인 이스라엘 왕 요람왕과 함께 아람 왕 하사엘과의 전투에 참가했고, 이 전투에서 요람은 .. 더보기